학교 부적응을 경험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불안, 절망, 소외감과 함께
자신감이 결여되기 쉽습니다. 정서적인 문제나 적대감, 공포감, 경쟁의식,
실패감이 누적되어 또다른 부적응 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교 부적응은 학업부진, 무단결석, 학교폭력, 학교교칙위반, 집단따돌림,
반사회적 행동으로 많이 나타납니다. 학교 부적응 역시 극단적 선택을 하는데
영향을 줄 정도로 관리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학교부적응 특성
지나치게 수줍어하며 친구가 거의 없음
싸움이 잦고 파괴적인 행동
주의가 산만, 대처하는 능력 부족
거짓말을 자주 함. 실패나 비판을 두려워함, 매사에 소극적
두통이나 복통 등 신체적 증상 호소, 자해
학교부적응 치료
학교 부적응을 하는 근원적인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며 자존감을 높이고
대처능력을 높이도록 상담합니다.
또한 학생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개발하여 진로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시험 불안은 시험 자체에 대한 불안으로, 성적에 대한 과도한 부담감, 시험 자체에 대한 지나친 걱정 때문에 오히려 집중력이 떨어져서 성취도 역시 함께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시험불안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신체적 반응을 포함하는 복합적 상태입니다.
걱정과 정서성의 두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마음 편하게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험불안 특성
인지적 반응 : 부정적인 생각
정서적 반응 : 부정적인 감정
행동적 반응 : 반복적이고 불안을 줄이려는 행동들
신체적 반응 : 호흡, 심장박동, 몸의 긴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