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인 게임중독은 뇌 도파민 회로의 기능이상을 동반하며 심각한 일상생활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 실제 존재하는 질병상태로 효과적인 건강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특히 소아청소년기는 중독문제로 인해 언어 발달, 학업, 놀이, 교우관계에서 균형잡힌 성장과 발달이 저해되는 폐해가 크므로 예방과 관리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게임을 하게 된 심리적 원인들도 상담을 통해 알아보고 해결해가야 합니다.
게임중독 자가진단
WHO가 제시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게임을 하고 싶은 욕구를 참지 못한다.
다른 관심사나 일상생활보다 게임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이로 인해 삶에 문제가 생겨도 게임을 중단하지 못하는 증상이 12개월 이상
지속된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증상들
거북목 증후군, 수면장애
강박증, 우울, 정신증, 불안, 대인 예민증, 편집증, 신체화, 적대감, 공포불안
갈망이나 금단, 내성, 일상생활 장애, 사이버 중심의 관계 지향
충동조절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게임(스마트폰) 중독 치료
게임(스마트폰) 중독치료는 인지, 정서, 행동적 치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정신, 신체, 사회 영역 모두 균형잡힌 성장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과 인지행동치료가 함께 진행되는 것이 좋습니다.